부동산 소식27 리처드 마이어 설계, '더 팰리스 73' 오피스텔 경매에서 219억 원에 낙찰 서울옥션 경매에서 '더 팰리스 73' 초호화 오피스텔 219억 원에 낙찰!서울옥션은 25일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진행된 경매에서 '더 팰리스 73' 오피스텔 한 호실(전용면적 261.30㎡)이 219억 원에 낙찰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오피스텔의 분양가는 약 210억 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축 거장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에 참여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리처드 마이어의 건축 걸작, '더 팰리스 73''더 팰리스 73'은 과거 쉐라톤팔래스 호텔 부지에 세워지는 초호화 오피스텔로, 프리츠커상을 최연소로 수상한 미국의 건축가 리처드 마이어가 설계에 참여했습니다. 마이어는 1970년대 초반 '뉴욕 파이브'의 멤버로서 '더 화이트'라는 건축가 그룹에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순백색 건축물로 '백색의 마술사'라는 별.. 2024. 6. 26.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 67%, 전달 대비 5%p 하락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 67%, 전달 대비 5%p 하락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전달 대비 5%p 하락한 67%로 조사됐다. 거래 절벽으로 기존 주택을 처분하지 못해 입주에 실패한 사례가 가장 많았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7.3%로 전월보다 5%p 하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4.9%p 하락한 76.2%였습니다. 서울은 79.9%, 인천·경기권은 74.3%로 각각 5%p 내렸다. 5대 광역시는 65%, 기타지역은 65.8%로 수도권과 지방 모두 하락해 입주율이 낮아졌습니다. 특히 강원권은 지난해 입주율 50~60% 선을 횡보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6%p 떨어졌습니다. 춘천과 강릉을 중심으로 분양시장이 .. 2024. 1. 9. 중국 자산운용사그룹 중즈 6일 파산 신청 중국 자산운용사 중즈그룹 파산 신청 중국 자산운용사 중즈그룹이 6일 파산 신청을 했습니다. 중즈그룹은 부채가 640억달러(약 84조원)에 달하는 중국 그림자 금융의 대표 주자로, 오랜기간 중국 부동산 회사의 자금줄 역할을 해왔습니다. 중즈그룹의 파산 신청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됩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21년부터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규제를 강화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었고, 부동산 개발업체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습니다. 중즈그룹은 부동산 개발업체에 투자를 많이 해왔기 때문에,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중즈그룹의 자산총액은 1조위안(약 183조6000억원)에 달하지만, 자산 총액을 초과한 채무.. 2024. 1. 7. 정부의 부동산 시장 조절 대책, 겨우 살아났지만 또 침체를 겪게 되려나 정부의 부동산 시장 조절 대책, 겨우 살아났지만 또 침체를 겪게 되려나 정부의 부동산 시장 조절 대책 1·3대책 시행 후, 가격과 거래량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재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고금리 기조 등으로 모순적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의 특례보금자리론, 전매제한 완화 등의 정책 효과가 끝나면 시장이 다시 하락세에 접어들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진단도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향후 집값 하락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입장부터 '큰 하락세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다양합니다. 한국부동산원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하락세를 이어가던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 7월, 약 18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됐습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중심으로 상승.. 2023. 9. 15. 경기도 남부 지역 아파트값 상승세, 서울보다 가파르다 경기도 남부 지역 아파트값 상승세, 서울보다 가파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까지 급락했던 아파트값이 5월을 기점으로 반등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보다 경기도 남부 지역들의 상승 폭이 더 가팔랐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5월 1일부터 9월 4일까지 전국 시군구 중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경기 하남시로 6.17% 상승했습니다. 이어 화성(5.77%), 과천(5.15%), 성남 수정(4.77%), 광명(4.7%)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아파트값 상승률 상위 10곳 중 서울은 송파구(4.24%)만 6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7~10위 역시 인천 중구(3.64%)를 제외하고는 모두 경기도습니였다. 경기도 남부 지역 아파트값 상승세의 원인은? 경기.. 2023. 9. 13.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 위기와 그 영향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 위기와 그 영향 미국 경제를 뒤흔들 뇌관으로 거론돼왔던 '상업용 부동산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은행의 직접대출 뿐만 아니라 부동산투자신탁(REITs), 상업용부동산저당증권(CMBS) 등 간접대출까지 포함하면 수천조원의 자금이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피스 빌딩 판매량은 2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뉴욕의 대도시에서 사무실 공실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부동산 투자사인 RXR은 최근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으며, 뉴욕시 맨해튼에 있는 33층짜리 오피스빌딩의 대출 만기가 다가왔지만 재융자를 해주는 은행이 없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은 어두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뉴욕 지역은행인 M&T은행은 최근 뉴욕시.. 2023. 9. 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