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구역 - 개발제한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입지규제최소구역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리좀투자연구소에 카바입니다. 오늘은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의 마지막 개념정리 4편 용도구역편의 개발제한구역과 도시자연공원, 시가화조정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입지규제최소구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개발제한구역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하기 위해 지정하는 구역입니다. 개발제한구역(Green Belt; GB)은 공간적 연속성 및 도시의 자족성 확보, 합리적인 토지이용 및 적정한 성장관리 등을 고려하여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ㆍ변경을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1. 도시가 무질서하게 확산되거나 서로 인접한 도시가 시가지로 연결되..
2023. 7. 9.
용도지구편 - 경관지구,고도지구,방화지구,취락지구,개발진흥지구등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리좀 투자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에 대한 개념정리 3편으로써 용도지구 - 경관지구, 고도지구, 방화지구, 취락지구, 개발진흥지구등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고자 합니다. 부동산을 함으로써 쌓아야 하는 지식인만큼 도움되시길 바라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용도지구 도지구는 용도지역에 따른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에 대한 제한을 강화하거나 완화함으로써, 용도지역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경관이나 안전 등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용도지역ㆍ지구제는 상위 도시계획에 부합하는 목적 및 방향으로 토지나 건축물의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시계획의 가장 근간이 되는 제도입니다. 모든 토지에 대하여..
2023. 7. 7.
부동산의 용도지역 -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개념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용도지역,지구,구역 1편에서 부동산의 용도지역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에 대해 좀더 세분화해서 2편으로 알아볼까 합니다. 용도지역 토지의 이용이나 건축물의 용도ㆍ건폐율ㆍ용적률ㆍ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ㆍ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서로 중복되지 않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뜻합니다. *용도지역,지구,구역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은 1편을 봐주세요! 용도지역 - 주거지역 주거지역은 거주의 안녕과 건전한 생활환경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지역에 지정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지역 중의 하나입니다.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과 함께 도시지역에 속한다. 주거지역은 양호한 주거환경 유지 및 적정 주거밀도 ..
2023.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