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소식

"한국 인구,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 - 외국인 인구 증가의 영향"

by Cabar 2024. 7. 30.
728x90
반응형

작년 부산 유학생 채용 모습 사진

작년 우리나라 인구가 2020년 이후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국인 인구는 계속 줄고 있지만, 외국인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한 여파입니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작년 기준으로 한국의 총 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습니다.

총 인구는 지난 2021년 사상 최초로 감소(-0.2%)한 이후, 2022년까지(-0.1%)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그런데 작년에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이는 외국인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외국인의 수는 1년 전보다 18만3000명(10.4%) 증가한 193만5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외국인이란 ‘국내 체류 3개월 이상’ 외국 국적자를 말합니다.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은 내국인으로 분류됩니다. 작년 외국인 증가폭은 5년마다 하던 인구총조사를 매년 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입니다.

반면 작년 내국인 인구는 1년 전보다 10만1000명(0.2%) 감소한 4983만9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내국인 인구는 지난 2021년 이후 매년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다만 작년에 인구가 소폭 증가했다고 해서, 국내 인구 감소세가 역전된 것은 아니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작년 말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는 2024년까지 증가했다가 2072년 3622만명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2025년부터는 외국인 증가폭보다 내국인 감소폭이 더 커진다는 분석입니다.

인구주택조사 통계청 사진

내국인의 경우 2019년 11월부터 지난 5월까지 55개월 연속으로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은 ‘자연 감소’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 외국인이 28.0%(54만1000명)으로 가장 많고, 20대 24.3%(47만명), 40대 16.5%(32만명) 순으로 많았습니다.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한국계) 53만2000명(27.5%), 베트남 24만7000명(12.8%), 중국 22만1000명(11.4%), 태국 19만1000명(9.9%) 순으로 많았습니다. 전년 대비 외국인이 많이 증가한 국적은 베트남(3만8000명, 18.1%), 태국(2만7000명, 16.8%), 중국(1만7000명, 8.5%) 순이었습니다.

국내 유입국적 통계청 사진

작년 국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70.6%인 3654만6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 대비 14만명(-0.4%) 감소한 수준입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8년 이후 6년째 감소하고 있습니다. 노령화지수(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171.0으로 전년 대비 14.9 증가했습니다.

가구 단위로 분석하면, 국내 1인 가구는 783만 가구(35.5%)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일반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1인 가구 비율은 2021년 33.4%, 2022년엔 34.5%였고, 작년엔 35.5%로 올랐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