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7월 소폭 상승
-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 전월 대비 0.2% 상승
- 6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
- 연준, 9월 금리 인상 전망에 제동
미국 노동부는 10일(현지시간)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2% 상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 6월의 상승률(3.0%)보다 소폭 오른 수치입니다. 전월 대비 0.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미국의 CPI 인플레는 지난해 6월 9.1%까지 41년 만에 최대치까지 치솟은 뒤 하락세로 돌아 6월 3.0%까지 9개월 동안 계속 떨어졌습니다.
7월의 인플레 반전은 12개월 누적 집계을 낼 때 0.0%였던 지난해 7월의 월간 상승률이 집계서 빠지고 8월부터 올 7월까지 계산하게 되면서 충분히 예상된 것이었습니다. 연 0.2%포인트 증가는 7월 월간 상승률 0.2%에서 비롯된 셈입니다.
통계적 반전이지 물가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 것은 아니라는 관측입니다. 이에 따라 연준의 9월 모임에서는 새 금리 인상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4.7%, 전월 대비 0.2% 각각 올랐습니다.
7월 CPI 상승은 유가와 식료품 가격 상승에 주로 기인했습니다. 유가는 7월 한 달 동안 2.1% 상승했고, 식료품 가격은 0.6% 상승했습니다. 또한, 자동차 가격도 1.1% 상승했습니다.
7월 CPI 상승은 미국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고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습니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7월 CPI 상승이 통계적 반전이라는 점을 고려해 연준은 9월 모임에서는 새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은행, 완화적 통화정책 상당 기간 지속 전망 (2) | 2023.08.13 |
---|---|
원·달러 환율, 8.9원 상승해 1324.9원 마감 (28) | 2023.08.11 |
호주 싱크탱크 "달러화 지배력 위협받고 있다", (2) | 2023.08.08 |
KAIST: 엔비디아 AI칩보다 성능 50% 뛰어난 AI 반도체 개발, 미국 신용등급 강등 여파로 원-달러 환율 한달여 만에 1300원대에 진입 (2) | 2023.08.04 |
애플, 아마존 2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브라질 룰라 대통령: "달러시대의 종언" (2) | 2023.08.04 |